경기부진, 디플레이션 우려된다
상태바
경기부진, 디플레이션 우려된다
  • 포항일보
  • 승인 2019.09.17 1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가상승은 국가의 거시경제 운영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득과 소비생활에도 영향을 준다. 급격한 물가상승은 화폐의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불확실성을 높여 경제활동을 위축시킨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물가는 1998년 외환위기 시기에 7.5% 급상승하였고 국제 원유가격 급등이 있었던 2008년에도 4.7%의 비교적 크게 상승하였다. 이후 2012년 2.2%, 2013년과 2014년 1.3%, 2015년 0.7%, 2016년 1.0%, 2017년 1.9%, 2018년 1.5% 상승해 과거에 비해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2018년기준 12개 대분류 품목 대부분이 전년에 비해 상승하였으나, 이 중 3% 이상의 상승률을 보인 것은 음식 및 숙박 등 1개 품목이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세 후퇴로 경기가 계속 부진하고, 산업수요 감소와 가동률 저하에 따른 재고 누적 등이 물가를 끌어내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경기 침체와 물가 하락이 장기화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에 빠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경남지역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0.5%)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폭등했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지수 전체가 하락했다. 이 같은 전국적 통계 지표는 디플레이션 영향에서 해석된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물가가 지속해서 떨어지는 경제 현상을 일컫는다. 소비자 입장에서 물가가 싼 것이 좋지만 전반적 물가가 장기간 떨어지면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최근 기업 투자와 소비 등 내수의 급속한 하강세를 보면 경기 침체에 따른 총수요 부족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통계청은 저물가가 장기간 지속되는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으로 규정한 것은 우리나라 경제가 생산과 투자, 소비가 극심한 부진에 빠져 하강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성장의 동력은 힘을 상실하고, 고용이 저조한 악순환이다. 경제 전문가들의 디플레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부와 한국은행은 아직은 디플레이션 국면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안이한 인식 판단이 아닌가 싶다. 경기부양책을 강구하는 경제정책 방향과 정책수단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